난장판의 유래? (조선시대 과거 시험장 풍경)
조선시대 과거시험(문과)이 ‘하늘의 별 따기’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. 3년마다 치러지는 정기시험인 식년시, 비정기 시험인 증광시, 알성시, 별시까지 합치면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닐 것 같지만 수만 명의 응시자 중 3년에 겨우 33인을 뽑았으니 그 치열함이 이루 말 할 수 없었을 겁니다. 그래서 정약용, 박제가 등등 이름난 학자들은 이 과거 시험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 정약용 자신도 과거합격을 위해 10년을 문장 다듬기에만 골몰했던 시절을 후회했고, 더구나 박제가와 같은 서얼은, '잠을 안자고 생각해 보아도 알 수가 없구나 공자라도 이 문을 나와야 할 것이다.'라는 말로 과거를 위한 과거 공부가 얼마나 비생산적인지를 한탄하기도 했습니다. 그리고 이어지는 벌열(閥閱-국가에 공로가 많거나 ..
오버부 지식탐방/우리역사정보
2011. 11. 30. 15:31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행복 다이어트
- 임재범
- freeover
- 듣기
- 자연치유력
- 아이폰
- 프리아
- 갤럭시
- 가사
- 나가수
- 명현현상
- .<
- 행복
- 아이패드
- 캘리그라피
- 다이어트 비법
- 다이어트
- 4/아이폰4
- 음양원리
- 스마트폰 배경화면 모음(갤럭시S3
- 오버부
- 라이브
- 프리오버
- 나는 가수다
- 뮤비
- 연애
- 음양
- 심체 다이어트
- 그림일기
- 건강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